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이천구간 공사 '가속'
    부동산투자/부동산재테크 2010. 6. 23. 11:36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이천구간 공사 '가속'

    이범관, 복선전철 1200억원 예산확보해 이천-여주구간 공사

     

     

    서울 접근성 및 생활환경이 뒤쳐져 투자자 및 내집마련 수요자에게 외면 받았던 광주시를 비롯해 이천시, 여주군이 서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뻔한 얘기지만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이 개통(2012년 계획, 더 늦춰질 가능성 높음)되면 일산보다 더 서울 강남 접근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이렇다할 개발호재가 없었던 광주, 이천, 여주 지역은 이런 대형호재를 만나면서 투자자들이 몰리고 지역 내에서도 경쟁이 붙으면서 3년 간 아파트 가격이광주 58.3% △이천 51% △여주 60.5%가 상승했을 정도다.(참고로 과거 3년 간서울 43.1% △신도시 35.8% △경기 44.8%가 상승했음)

     

    지난 호에 게재한경의선 복선화에 대한 파주, 고양시민의 기대가 크듯,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또한 광주시, 이천시, 여주군 거주자뿐만 아니라 서울로 출퇴근 하려는 수요자들의 기대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추진은 어디까지?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은( 53.8km) 판교를 출발해 이매~삼동~광주~쌍동~곤지암~신둔~이천~부발~능서~여주를 잇는 사업으로 1997년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에 반영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 이후 4차례의 타당성 검토 후 △2002년 기본계획을 수립 △2004 4월 제2차 수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 수립 △2006 6월 건물기본설계착수 △2007 10월 사업실시계획승인신청 △2007 11 20일 착공 △2007 11월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포함됐다.

     

    , 1997년 계획수립 후 2007 11월 착공되기까지 각 지자체별 타당성 검토 및 예산이 편성됐으니까 계획 후 10년 만에 착공이 이뤄진 것이다.

     

     지난 2007 11월 판교역과 이매역 구간은 착공됐으나 삼동~여주역은 국토해양부로부터 아직 실시계획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인데다 지자체별 예산확보가 덜돼 착공이 미뤄지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008년 말 예산편성을 받아 2009년 상반기부터 미착공 구간에 대한 보상협의 및 보상실시를 한 후 마무리되는 대로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착공은 빠르면 2009년 하반기~2010년 초 계획)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에 따르면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사업의 규모 상 공사기간은 발주된 날로부터 7년 정도 잡아야 실제 운행이 될 수 있다.”고 한다. , 빠르면 2016년 개통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하루 평균 최대 82천명 정도가 이용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천~강남은 50분대, 여주~분당은 40분대 진입이 가능해진다.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역은 어디에?

     

    많은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사항이 아닐까 싶다. 역사가 들어서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인근 역세권이 되는 토지 및 아파트에 투자해야 미래에 더 많은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남시(판교역, 이매역)

     

    판교역, 이매역

     

     

    위 그림에서 보다 시피 판교역은 경부고속도로 판교IC 옆 업무지구 앞쪽에 생기며 역사는 지하 4층에 들어서게 된다.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이 개통될 경우 아파트 중에서는 A22-1(뜨란채), A22-2(뜨란채), A23-1(뜨란채), A27-1(휴먼시아 e-편한세상)가 역세권이 돼 가장 큰 수혜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C2-2, C2-3블록은 주상복합용지로 향후 분양될 경우 높은 경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과 같이 분당선 이매역 정거장은 지하 2, 성남~여주 간 복선전철 이매역 정거장은 지하 3층에 들어서 환승역이 된다.

     

    물론 기존 분당선이 있어 이매역 인근 역세권 아파트가 광주, 이천, 여주 역세권 아파트처럼 큰 수혜를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분당선을 이용하는 경우 강남 선릉에 도착한 후 강남역, 양재 방향으로 이동할 때 환승해야 하지만 신분당선이 개통(1단계 2010년 말)되면 환승하지 않고 강남역, 양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시너지가 발생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매역 역세권 아파트는 이매촌과 아름마을에 위치한 아파트다.

     

    광주시(삼동역, 광주역, 쌍동역, 곤지암역)

     

    삼동역

     

     

     

    경기도 광주시 삼동 225번지 일대에 들어서는 삼동역 역세권이 되는 단지는 우남퍼스트빌이 유일하다. 향후 삼동역이 들어서면 걸어서 약 10분 걸리는 역세권이 된다.

     

    우남퍼스트빌은 7~15 5개동 336가구의 중소형 단지로 105A, B 주택형으로 구성돼 있으며 입주는 지난 2004 6월에 했다.

     

    이 주변엔 상가와 공장이 대부분이어서 실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주택은 금호맨션, 삼성하이빌 정도다.

     

    광주역

     

     

     

    경기도 광주시 역동 광주중앙고와 한국정보통신기능대학 사이에 들어서는 광주역 주변엔 역세권이라고 할만한 아파트가 없고 대부분 노후 빌라들이다. 그나마 수혜를 받게될 것으로 예상되는 단지는 장지동 현대, 탄벌동 쌍용스윗단홈 1, 2, 3단지 뿐이다.

     

    쌍동역

     

     

     

    경기도 초월읍 쌍동리 롯데낙천대 앞쪽에 들어서는 쌍동역 역세권은 단연 롯데낙천대, 롯데낙천대2단지며 그 외에 동광모닝스카이, 초월 e-편한세상이다.

     

    롯데낙천대1, 2단지는 2004 7월 말 입주한 단지로 12~15 816가구의 중대형 단지다. 인근에 도곡초등학교가 있고 단지 옆에 곤지암천이 흘러 조망이 좋아 이 주변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단지다.

     

    곤지암역

     

     

    경기도 광주시 실촌면 곤지암리 곤지암시외버스터미널 곤지암천 건너편에 들어서는 곤지암역 역세권이 되는 단지는 노블리제, 쌍용1, 2, LG아파트 정도다.

     

    곤지암 일대는 그나마 초, , 고등학교가 가깝고 생활편의시설이 광주 타 읍보다 잘 갖춰져 있어 선호도 높은 곳이다.

     

    가장 큰 수혜를 받는 단지는 삼주노블리제 아파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주노블리제는 지난 2005 4월 말 입주한 448가구의 중형 단지로 주변에서 가장 새아파트인데다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쾌적하다.

     

    이천시(신둔역, 이천역, 부발역)

     

    신둔역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유니온테크 인근에 들어서는 신둔역 주변엔 크고 작은 공장과 노후 빌라, 단독주택이 몇 동씩 듬성듬성 들어서 있다. 그 외 대부분이 전, 답으로 생활편의시설 및 학군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 게 흠이다.

     

    이천역

     

     

    경기도 이천시 율현동 증일현대홈타운 아래쪽에 들어서는 이천역 주변엔 증일현대홈타운이 유일하다. 증일현대홈타운은 지난 2005 8월 말 입주한 단지로 13~15 11개동 523가구로 구성돼 있다.

     

    이 곳은 이천시내가 가깝고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어 조망이 좋다현재 주변에 가까운 학교가 없고 1.5km 떨어진 이천남초등학교와 2km 떨어진 이천중학교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행정타운과 택지조성등으로 향후 이천의 행정중심도시로서의 가교역할을 충실히할 역으로 손꼽는다...

     

    부발역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초등학교 위쪽에 들어서는 부발역 주변엔 현대7, 청구, 부발읍 현대성우메이저시티1~4단지( 1449가구, 2010 2월 입주예정)) 등 수혜단지가 가장 많은 곳이다.

     

    이 지역엔 하이닉스반도체가 있어 판교, 이매에 이어 이용자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역이다.

     

    여주시(능서역, 여주역)

     

    능서역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신지리 능서면복지회관 아래쪽에 들어서는 능서역 주변은 모두 전답이며, 능서초등학교 주변 단독주택과 노후 빌라와 신지2리 마을이 수혜지다.

     

    여주역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교리 여주순복음교회(암미교회) 앞쪽에 들어서는 여주역 역세권이 되는 단지는 여주예일쎄띠앙 아파트다. 그 밖에 이마트 인근에 위치한 상우1, 2, 동원, 삼한아파트 가 있다.

     

    예일쎄띠앙은 세종초등, 세종중학교가 바로 옆에 위치해 교육환경은 좋지만 단지를 나서면 여주에서 가장 상습정체구간이라는 점이 단점이다. 공휴일엔 영동고속도로를 우회하는 차량들이 단지앞쪽 도로를 지난다.

     

         ◀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역사 위치

     

    역명

    위치

    대지면적()

    층수

    판교역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19-2 일대

    -

    지하 4

    이매역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127-4 일대

    -

    지하 3

    삼동역

     광주시 삼동 225 일대

    11,991.30

    지상 1

    광주역

     광주시 역동 176-13 일대

    18,040.00

    지상 1

    쌍동역

     광주시 초월면 쌍동리 213-15 일대

    13,361.95

    지상 1

    곤지암역

     광주시 실촌면 곤지암리 367-1 일대

    16,314.08

    지상 1

    신둔역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528-2 일대

    실시계획변경
    승인신청예정

    지상 2

    이천역

     이천시 율현동 435 일대

    13,458.00

    지상 2

    부발역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505-7 일대

    8,515.00

    지상 3

    능서역

     여주군 능서면 신지리 376-2 일대

    3,926.00

    지상 2

    여주역

     여주군 여주읍 교리 403 일대

    10,861.00

    지상 2

Designed by Tistory.